본문 바로가기

부동산관련

공공재개발사업 및 공공재건축사업

정비구역의 지정권자는 비경제적인 건축행위 및 투기수요의 유입을 방지하고, 합리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공공재개발사업을 추진하려는 구역을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의 지정, 고시에 관한 절차는 법 제16조를 준용한다.

정비계획의 입안권자 또는 토지주택공사 등은 정비구역의 지정권자에게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의 지정을 신청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지주택공사 등은 정비계획의 입안권자를 통하여 신청하여야 한다.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에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 또는 지역주택조합원을 모집하는 행위를 하려는 자는 시장, 군수 등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허가받은 사항을 변경하려는 때에도 또한 같다.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 내에 분양받을 건축물이 법 제77조 제1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의 지정고시가 있은 날 또는 시, 도지사가 투기를 억제하기 위하여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 지정, 고시 전에 따로 정하는 날의 다음 날을 기준으로 건축물을 분양받을 권리를 산정한다. 이 경우, 시, 도지사가 건축물을 분양받을 권리일을 따로 정하는 경우에는 법 제77조 제2항을 준용한다.

정비구역의 지정권자는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이 지정, 고시된 날부터 2년이 되는 날까지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이 공공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지 아니하거나, 공공재개발사업 시행자가 지정되지 아니하면 그 2년이 되는 날의 다음 날에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 지정을 해제하여야 한다. 다만, 정비구역의 지정권자는 1회에 한하여 1년의 범위에서 공공재개발사업 예정구역의 지정을 연장할 수 있다.

정비구역의 지정권자는 기본계획을 수립하거나 변경하지 아니하고 공공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계획을 결정하여 정비구역을 지정할 수 있다.

정비계획의 입안권자는 공공재개발사업의 추진을 전제로 정비계획을 작성하여 정비구역의 지정권자에게 공공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구역의 지정을 신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공재개발사업을 시행하려는 공공재개발사업시행자는 정비계획의 입안권자에게 공공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계획의 수립을 제안할 수 있다.

정비계획의 지정권자는 공공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구역을 지정, 고시한 날부터 1년이 되는 날까지 공공재개발사업 시행자가 지정되지 아니하면 그 1년이 되는 날의 다음 날에 공공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구역의 지정을 해제하여야 한다. 다만, 정비구역의 지정권자는 1회에 한하여 1년의 범위에서 공공재개발사업을 위한 정비구역의 지정을 연장할 수 있다.

공공재개발사업 시행자는 공공재개발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78조 및 조례에도 불구하고 지방도시계획위원회 및 도시 재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법적 상한 용적률의 100분의 120까지 건축할 수 있다.

공공재개발사업 시행자는 법적상한초과용적률에서 정비계획으로 정하여진 용적률을 뺀 용적률의 100분의 20 이상 100분의 50 이하로서 시, 도 조례로 정하는 비율에 해당하는 면적에 국민주택규모 주택을 건설하여 인수자에게 공급하여야 한다. 다만,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천재지변 등으로 시행하는 경우, 재개발 및 재건축사업의 지정개발자가 천재지변등으로 시행하는 경우 및 재개발 및 재건축사업의 공공시행시 천재지변등으로 시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국민주택규모 주택의 공급 및 인수방법에 관하여는 법 제55조를 준용한다.

공공재건축사업을 위한 정비구역에 대해서는 해당 정비구역의 지정, 고시가 있은 날부터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 제1항 제1호 가목 및 같은 조 제2항에 따라 주거지역을 세분하여 정하는 지역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으로 결정, 고시된 것으로 보아 해당 지역에 적용되는 용적률 상한까지 용적률을 정할 수 있다.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공공재건축사업 시행자는 공공재건축사업을 시행하는 경우 완화된 용적률에서 정비계획으로 정하여진 용적률을 뺀 용적률의 100분의 40 이상 100분의 70 이하로서 주택증가 규모, 공공재건축사업을 위한 정비구역의 재정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시, 도조례로 정하는 비율에 해당하는 면적에 국민주택규모 주택을 건설하여 인수자에게 공급하여야 한다.

주택의 공급가격은 '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공공건설임대주택의 표준건축비로 하고, 분양을 목적으로 인수한 주택의 공급가격은 '주택법'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기본형 건축비로 한다. 이 경우, 부속 토지는 인수자에게 기부채납한 것으로 본다.

국민주택규모 주택의 공급 및 인수방법에 관하여는 법 제55조를 준용한다. 다만, 인수자는 공공재건축사업 시행자로부터 공급받은 주택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율에 해당하는 주택에 대해서는 '공공주택 특별법'에 따라 분양할 수 있다.

공공재개발사업 시행자 또는 공공재건축사업 시행자가 통합심의를 신청하는 경우에는 관련된 서류를 첨부하여야 한다. 이 경우, 정비구역의 지정권자는 통합심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출기한을 정하여 제출하도록 할 수 있다. 

시장, 군수 등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통합심의 결과를 반영하여 사업시행계획을 인가하여야 한다.

 

'부동산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도지역, 용도지구 및 용도구역  (0) 2023.01.05
관리처분계획  (0) 2023.01.03
리모델링  (0) 2022.12.31
건축협정  (0) 2022.12.31
농지의 소유  (0) 2022.12.30